-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72
12월 FE 포스팅 (전호균) #255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12월 FE 포스팅 (전호균) #255
Conversation
baebae02
left a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포스팅 잘 읽었습니다! 새로운 프레임워크 들에 대한 설명이 잘 나와있어서 신기한 마음으로 읽었네요 ㅎㅎ
신기술을 다루는 만큼, 어려운 용어와 개념들이 조금씩 섞여있는 것 같습니다. 중간중간 이해를 돕는 이미지 자료를 첨부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_posts/2022-12-19-front-end-world.md
Outdated
|
|
||
| ### 앵귤러, 리액트, 뷰를 넘어서 | ||
|
|
||
| '프론트엔드 개발 방법'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현재(2022년)로서는 아마 많은 분들이 '리액트'를 가장 먼저 떠올리지 않으실까 생각합니다. 조금 더 넓게 보자면, 리액트와 함께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3대장으로 불리는 앵귤러와 뷰 정도를 더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그럼, 이것들로 프론트엔드의 개발 세계는 끝인 걸까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그럼' 앞에 한 칸만 띄워주세요 !
_posts/2022-12-19-front-end-world.md
Outdated
|
|
||
| ## 1.1. 앵귤러(Angular) | ||
|
|
||
| 앵귤러는 현대적인 웹 프론트엔드 개발 도구 중 가장 오랜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2010년 선보인 프레임워크입니다. 앵귤러는 프론트엔드 개발에 무려 MVC 모델을 도입하는 등 혁명적인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게다가 많은 개발 도구들, 예컨대 뷰(Vue)와 같은 도구의 탄생에도 영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MVC 모델이 뭔지 간단하게 부언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다양한 내용들을 다루어주어서 간편하게 읽기 좋은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크게 문제는 없으니 아래 내용들 중에서 원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보충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Virtual Dom에 대한 부연 설명
- Qwik에 대해서
- 웹 FE와 앱 FE에 대한 분리
|
먼저, 상세한 리뷰 감사드립니다! 1. Virtual Dom에 대한 부연 설명 가상 DOM에 대한 설명은 있으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저도 다시 읽어봤는데, 앞부분은 최대한 간단하게만 쓰려다보니 내용이 너무 빠진 것 같습니다. 앞서 @baebae02 님이 말씀해주신 MVC과 함께 해당 부분 내용 보강하겠습니다! 2. Qwik에 대해서 Qwik의 경우는 초고 작성할 때에도 잠깐 고려했던 부분인데, 아직 자료가 많지 않기도 하고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걸 제외하면 Svelte, Astro에 비해서 특징적으로 설명할 부분이 적은 것 같아 (분량상) 제외했었습니다. 다만, Qwik도 충분히 눈 여겨볼 만한 프레임워크라는 생각은 들기 때문에 별도 항목을 추가하기보다는 추가적으로 읽어보면 좋을 문서의 링크와 간단한 설명으로 갈음하겠습니다 ㅎㅎ 3. 웹 FE와 앱 FE에 대한 분리 플러터를 제외하고는 모두 웹에만 해당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플러터에 관해서만 분리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플러터는 두 분야를 통합적으로 작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고, 실제 개발도 그렇게 이뤄지기 때문에 너무 명확히 분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실제에선 현실적인 이유로 분리해서 작업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지만, 개념적인 것을 다루는 이 포스팅에서는 플러터의 공식적인 지향점에 맞추어 작성하는 것이 더 알맞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제가 플러터를 포스팅에 추가한 것은, 오히려 둘의 분리를 명확히 하느라 플러터를 웹 개발에 많이 활용하지 않는 것 같아 웹 개발에도 플러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다만, 웹 개발 도구로서의 플러터 내용이 너무 적은 것 같고, 리액트네이티브와 비교하는 부분은 전적으로 앱 개발의 영역이기 때문에 해당 내용은 삭제하고, 웹 개발 도구로서의 플러터 내용을 조금 더 보강하겠습니다! |
pasly0920
left a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LGTM!
custardcream98
left a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정말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사실 읽기 전에는 스벨트에 관심이 있었는데 호균님 글을 읽고 나니 아스트로가 흥미롭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아.. 확인이 너무 늦었네요. 문제 없습니다! |

12월 포스팅입니다.
늦어서 죄송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