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b3be9d9

Browse files
authored
Create README.ko.md
1 parent 60249aa commit b3be9d9

File tree

1 file changed

+29
-0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29
-0
lines changed

README.ko.md

+29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29 @@
1+
## `n`각형의 외접원과 내접원
2+
3+
> [English](README.md), [Korean](README.ko.md)
4+
5+
<p align="center"> <img width="50%"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j2doll/polygon.circle/refs/heads/main/polygon.circle.output.jpeg" /> </p>
6+
7+
-`n`각형에 대해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을 한 변의 길이 `s` 를 이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8+
9+
<br />
10+
11+
### 1. 외접원의 반지름 `R`
12+
13+
- 외접원의 반지름 [![equation](https://latex.codecogs.com/png.latex?%5C%28%20R%20%5C%29)](#) 은 정`n`각형의 중심에서 꼭짓점까지의 거리입니다.
14+
- 이를 계산하면: [![equation](https://latex.codecogs.com/png.latex?R%20%3D%20%5Cfrac%7Bs%7D%7B2%20%5Csin%5Cleft%28%5Cfrac%7B%5Cpi%7D%7Bn%7D%5Cright%29%7D)](#)
15+
16+
<br />
17+
18+
### 2. 내접원의 반지름 `r`
19+
20+
- 내접원의 반지름 [![equation](https://latex.codecogs.com/png.latex?%5C%28%20r%20%5C%29)](#) 은 정`n`각형의 중심에서 한 변의 중점까지의 거리입니다.
21+
- 이를 계산하면: [![equation](https://latex.codecogs.com/png.latex?r%20%3D%20%5Cfrac%7Bs%7D%7B2%20%5Ctan%5Cleft%28%5Cfrac%7B%5Cpi%7D%7Bn%7D%5Cright%29%7D)](#)
22+
23+
### `n`의 범위
24+
25+
- `n`은 3 이상의 자연수입니다.
26+
- `n`의 값이 커질수록, **원(Circle)** 에 가까워 집니다.
27+
28+
29+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