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Introducing Domain-Oriented Microservice Architecture [영문]
- 실시간 댓글 개발기(part.1)
- Go와 함께하는 전화망 서비스 구축 1편
- Netty를 이용한 채팅 서버 구축 경험기
- 서버에 걸리는 부하, 추측하지 말고 계측하자
- MVVM 아키텍처 패턴
- Opening Mail Server 26시간 삽질기
- 넷플릭스가 AWS로 이전한 과정
- Serverless와 기술도입, Backend Application의 미래
- 월간 300억 동접자 수를 처리한 방법에 대한 글 [번역]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아키텍쳐 1편 [시리즈][슬라이드]
- <야생의 땅 듀랑고>의 데이터 엔지니어링 이야기: 로그 시스템 구축 경험 공유 [슬라이드]
- 주니어 개발자가 외칩니다, "Hello, System Architecture!"
- AWS 서버 이중화하기
- REST 기반의 간단한 분산 트랜잭션 구현 1편 [시리즈]
- 스프링부트로 웹 서비스 출시하기 - 배포 자동화 구축하기
- 우아한형제들 신규 포인트 시스템 전환기 1편 [시리즈]
- TreadLocal과 TreadPool을 사용하여 요청 및 응답 기록 남기기
- AWS Aurora 도입전에 알아야 할 몇가지 사실
- 쿠팡 서비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통해 배운것들 [슬라이드]
- 왜 비즈니스 로직은 Model(Domain)에 가까울수록 좋은가?
- 빌링 시스템 장애 대응 사례 - 우아한형제들
- 10가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요약 [번역]
- 웹 아키텍쳐 입문 [번역]
- 서버 성능에 대한 정의와 이해 [슬라이드]
- 배달의민족 오프라인 모드 적용기
- YouTube Go (오프라인 모드 유튜브)는 왜 출시되었을까?
- 네이버 메인 페이지의 트래픽 처리
- 340만 동시접속으로 서비스 다운 사후분석 - 포트나이트
-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 LINE에 사용하는 수많은 서버를 모니터링하는 도구, Promgen을 소개합니다.
- 단일 저장소(repository)의 좋은점 [번역]
- 클라우드 컴퓨팅 깔끔 정리
- nginx 설정 자동으로 하는 사이트
- 바람직한 멀티스레딩 구조 [영상]
- 실시간 서비스 개발 후기
- 대규모 분산 스토리지(Kage)의 발전 과정
- AWS 장애를 바라보며. 클라우드에 대한 단상
- Elastic Stack과 Lambda를 활용한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아마존 웹 서비스를 다루는 기술' 원고 공개
- 빅데이터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 대규모 서비스를 설계하는 기술 -중급(일반편) [슬라이드]
- 커머스 혹은 유통 도메인 설계에 대한 연작 1편
- 토스의 백엔드는 어떻게 자동화되는가?
- 2018년 11월22일 발생한 AWS 장애 원인 요약 글
- AWS EC2 Container Service 구조와 특징
- 단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키텍쳐 [번역]
- AWS 기초를 배우는 사이트 모음
- AWS re:Invent 2018 한 방에 정리하기
- Netlify로 정적 사이트 배포하기
- 2019년 클라우드 핵심 트렌드 예측 [번역]
- 블로그 서버 마이그레이션
- 클라우드 서비스 이해하기 IaaS, PaaS, SaaS
- 천만 명의 사용자에게 1분 내로 알림 보내기 (병렬프로세스의 최적화)
- 테라폼 기초 튜토리얼
- 라이브 비디오 서비스 구축을 위한 노하우 1편
- 서버 시간동기화 문제 그리고 대안
- AWS Lambda@Edge에서 실시간 이미지 리사이즈 & WebP 형식으로 변환
- Apache냐 Nginx냐, 그것이 알고싶다.
- L4/L7 스위치 대안 오픈소스 로드밸런서 HAProcxy
- 타다 시스템 아키텍처
- 웹서버, WAS 개념 정리
- 아마존 엘라스틱 컨테이너 서비스(ECS) 입문
- 배민라이더스 배달 경로와 거리 계산 개발과정
- Amazon RDS 활용 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DBA)의 역할 변화
- 누구나 할 수 있는 엑세스 로그 분석 따라해보기 (by Elastic Stack)
- 서버리스 컴퓨팅 시대의 풀스택 개발 [번역]
- MVC, MVP, MVVM 비교
- 리모트 컨피그 서버 구축기
- 멀티플렉싱 기반의 다중 접속 서버로 가기까지
- DevOps tutorial [영문]
- Woot 은 어떻게 AWS 기반 서버리스 데이터 레이크를 구축 하였는가?
- Lambda 한개로 만드는 On-demand Image Resizing
- 서버리스 아키텍쳐 파헤치기
- 웹서버 개발의 Session 전략
- 만들면서 배우는 AWS VPC 입문 - 아마존 웹 서비스 네트워크의 기초
- 신입 개발자가 스타트업에서 AWS로 살아남는 이야기 - 조용진(모두의 캠퍼스)
- 대규모 서비스를 지탱하는 기술 - 기초편
- 대규모 서비스를 지탱하는 기술 - 중급편
- AWS로 사용자 천만 명 서비스 만들기 [슬라이드]
- 시스템 디자인 학습 저장소 [영문]
- 서버비용을 70%나 줄인 온디맨드 리사이징 이야기 by VCNC
- 그들이 AWS 위에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운영하는 법 [슬라이드]
- 우아한테크토크 - 선착순 이벤트 서버 생존기! 47만 RPM에서 살아남기
- ECS를 이용한 Serverless Batch 서버
- 이벤트 기반 분산 시스템을 향한 여정 [슬라이드]
- CloudWatch 메트릭 그래프 스냅샷 만들기
- 카카오 개발자가 본 ‘요즘 클라우드 흐름’ 세 가지
- 아파치 로드밸런싱으로 여러 WAS 운영하기
- 리디북스 서비스 장애 복구 후기
- 가장 쉽게 AWS VPC 개념잡기
- AWS로 토이프로젝트 운영삽질기
- 쿠키런 1년, 서버개발 분투기 [슬라이드]
- 콘퍼런스 참가 신청 기능 개발기
- 스파게티 조인을 피하고 경계안에서 캐시 구현하기
-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슬라이드]
- Cloudflare 도입 후기
-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세싱 전략 [영상]
- Serverless와 기술도입, Backend Application의 미래
- 타다 (TADA) 서비스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 태초부터 현재까지 [슬라이드]
- 푸시 데몬 메모리 누수 디버깅하기
- 멀티클라우드를 이용한 로그 분석 플랫폼 개발하기
- 웹서비스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 EC2, Fargate 약정 할인 AWS Savings Plans 발표
-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멀티 리전 프록시 도입기
- AWS S3 정적호스팅 SPA에 동적 메타태그 적용하기
- 라즈베리파이4로 토이프로젝트용 서버 만들기 - 1편
- 스케일아웃없이 순간 급증하는 주문 처리하기 [영상]
- ActiveMQ의 Virtual Destinations를 활용한 메세지 로드밸런싱
- Multi CDN 트래픽 모니터링을 위한 클러스터 구축기
- 데이터 기반으로 지속적인 CI/CD 개선 환경 만들기
- 주니어 개발자의 CI/CD 도입기
- 10가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요약 [번역]
- ELK 셋팅부터 알람까지️
- 하둡 총정리
- 우아한 모노리스 [영상]
- 캐치딜 백엔드 개발이야기 : 좌충우돌 서버운영 이야기
- awesome-scalability
- Scaling to 100k Users [영문]
- Scaling to 100k Users [번역]
- AWS 람다(AWS Lambda)란?
- 온디맨드 이미지 리사이징 (Ondemand Image Resizing) 원리 및 예제
- LINE LIVE 채팅 기능의 기반이 되는 아키텍처
- 멀티 쓰레드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8가지 규칙 [번역]
- LINE LIVE 채팅 기능의 기반이 되는 아키텍처
- 배달의민족 최전방 시스템! '가게노출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 안심번호 마이크로서비스 개발하기
- LINE 메시징 서버가 새해 트래픽을 대비하는 과정
- 딥러닝 모델 Serving 간단 구축기
- 로드밸런서의 종류와 동작방식
- Spring Batch 관리 도구로서의 Jenkins
- AWS 비용을 줄이는 10가지 방법 [영문]
- 서머타임과 배치작업
- CDN과 로드밸런서를 활용한 부하 분산
- 쿠팡 추천 시스템 2년간의 변천사 (상품추천에서 실시간 개인화로) [영상]
-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는걸까? 8분 개념 설명! [영상]
- LINE 트랜스코딩 서버 아키텍처 개선기 – 1
- 주니어 개발자의 클린 아키텍처 맛보기
- 서버리스를 활용한 분산 처리 [슬라이드]
- MySQL을 이용한 분산락으로 여러 서버에 걸친 동시성 관리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 [번역]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 그것이 뭣이 중헌디?
-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회고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 기본적인 개념과 우버적용 사례 [번역]
- 마틴 파울러가 설명하는 마이크로서비스 [번역]
- "마이크로서비스는 답이 아니었다" 세그먼트가 모놀리틱으로 돌아온 이유
- 마이크로서비스, 어디까지 해봤니? [영상]
- 잘 키운 모노리스 하나 열 마이크로서비스 안 부럽다 [슬라이드]
- 쿠팡의 MSA 적용기, 행복을 찾기위한 우리의 여정
- MSA, K8S를 이용한 대륙의 서비스 개발 사례 [슬라이드]
- MSA에서 동시에 여러 API 호출로 응답 시간 줄이기
- 마이크로 서비스 관련 글 총정리
- WATCHA PLAY 서비스 MSA 적용하기
- 휴면 계정 처리 – 배치에서 온라인 시스템으로
- Mastering Chaos - A Netflix Guide to Microservices [영상]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와 컨테이너 환경
- Go RESTful API(gRPC Client) + Python gRPC server
- 레디스 사망일기
- 캐시 성능 향상기 (Improving Cache Speed at Scale)
- 레디스와 분산 락(1/2) - 레디스를 활용한 분산 락과 안전하고 빠른 락의 구현
- 개발자를 위한 레디스 튜토리얼
- Jedis 보다 Lettuce를 쓰자
- Redis in Action [영문]
- IDC에서 AWS로 Redis 데이터 이전하기
- 우아한테크세미나 - 우아한 레디스 [영상]
- 우아한 Redis 세미나 후기
- 우아한 Redis 발표자료 [슬라이드]
- Redis 6.0 – ThreadedIO를 알아보자.
- REST API에서 Put 과 Post 의 차이
- REST API의 이해와 설계 1편 - 개념 소개
- Restful API를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팁
-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영상]
- REST API 튜토리얼 [영문]
- REST API 설명 [영상]
- REST FULL 한 웹서비스 > Stateless와 HATEOAS 개념
- REST의 representation이란 무엇인가
- REST API가 뭔가요? [영상]
- RESTful API 설계 가이드
- 조금 더 괜찮은 Rest Template 1부 - Retryable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소통하는 엔드포인트, RESTful API
- 프로듀스48과 함께하는 GraphQL(그래프큐엘)
- GraphQL과 RESTful API
- GraphQL 개념잡기
- 코딩 없이 10분 만에 REST API/Graphql 서버 개발하기
- GraphQl을 오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