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72 lines (50 loc) · 2.09 KB

7. GitHub.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72 lines (50 loc) · 2.09 KB

7. Github

Remote repository인 Github를 활용하자


GitHub에 올라와 있는 open source 가져오기


$ git clone 원격저장소 .

Github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커뮤니티로 해당 원격저장소(Remote Repository)에 올라와 있는 소스코드는 라이센스에 맞게 누구나 활용가능하다. 해당 명령어를 통해 자신의 지역저장소(Local Repository)로 소스코드를 받아오게 되면 해당 디렉토리는 자동적으로 해당 원격저장소와 연결된다.



원격저장소와 지역저장소 연결하기


Github에 회원가입을 하고 원격저장소를 만들었다면 지역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를 연결할 수 있다.

$ git remote add origin master 원격저장소주소

$ git remote -v

해당 코드를 지역저장소에서 실행하게 되면 원격저장소를 등록할 수 있다. 참고로 origin은 원격저장소의 별칭으로 자신이 원하는 별칭으로 작성하여도 문제없다.



지역저장소의 내용을 원격저장소로 보내기


처음 원격저장소로 무언가를 보낸다면
$ git push -u origin master

위의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해당 코드를 입력하면 username과 password를 물어보는데 username은 자신 Github의 계정의 별명, password는 원격저장소의 토큰이다.

한 번 푸쉬를 했다면 다음부터는

$ git push

만 입력하면 쉽게 변경된 commit을 보낼 수 있다.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지역저장소로 가져오기


처음 원격저장소에서 지역저장소로 무언가를 가져온다면

$ git init
$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

위의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앞서 말했듯이 원격저장소의 주소가 지역저장소의 주소와 연결된다.

원격저장소와 지역저장소가 연결되었다면

$ git pull

이라는 명령어로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지역저장소로 쉽게 가져올 수 있다.